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6)
[Python] 라이브러리 사용하기(import 사용) 요즘 파이썬을 이용한 인공지능이나 빅데이터가 인기를 끌고 있다는 사실은 프로그래밍을 하는 사람들이라면 모르는 사람들이 없을 것이다. AI 나 빅데이터를 다루는 언어로 많은 사람들이 파이썬을 말한다. 아마 이 글을 보는이도 해당 분야에 관심이 있어 검색을 통해 글을 읽고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제까지 포스팅한 글을 살펴보아도 기본적인 문법과 객체를 다루는 법만 있을 뿐 AI 나 빅데이터가 언급 된적이 없을 것이다. 여기서 고개를 가웃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파이썬 에서는 import 라는 명령어로 수 많은 라이브러리들을 가져올 수 있다. 그중의 하나가 텐서플로우(Tensorflow) 와 같은 구글에서 제공하는 라이브러리가 있는 것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AI 와 빅데이터는 다루지 않고, 기본적인 라..
[Python] 객체에 대한 이해, 기본 사용법 객체에 대한 이해 파이썬에서는 객채라 불리우는 클래스를 정의할 수 있다. 이전 포스팅에서 데이터들에 대한 단어 선택을 객체로 명명 하였는데, 파이썬은 모든 데이터형들을 객체에서 만들기 때문이다. 객체란 무엇일까? 객체란 의미 있는 단위라고 생각 하면 된다. 기존에 C언어 문법과 같은 경우(몰라도 이해만 하면 된다.) 단순히 데이터형들(int, float, double 등등..) 을 선언해주고 메모리를 할당하여 데이터를 넣는 방식으로 사용해 왔다. 그리고 이러한 데이터들을 이용해 함수를 만들고, 함수에서 다시 다른 함수를 호출하는 방식으로 프로그램이 이루어지며, 프로그램이 순서대로 실행되는 절차지향의 방식을 따른다. 그러나 객체는 하나의 의미있는 단위를 정의하는 것이다. 철수가 학교에 간다는 문장을 프로그..
[Python] 기본적인 사전 사용법 사전의 선언 및 기본기능 이전에 봐왔던 데이터 형식인 튜플, 리스트에 이어 키와 값을 맵핑 시켜줄 수 있는 사전을 사용할 수 있다. 사전의 기본형식은 다음과 같다. 사전 = { "키1" : 값1, "키2" : 값2, "키3" : 값3 } 튜플과 리스트와 달리 괄호 "{" "}" 로 선언해준다. 기본적인 사용 코드를 살펴 보자. city_pop = {"Daegu" : 53, "Busan" : 55} city_pop["Seoul"] = 2 city_pop["incheon"] = 32 print(city_pop) print(city_pop["Seoul"]) city_pop.pop("Busan") print(city_pop) 사전을 선언하면서 키와 값을 초기화하며 선언해줄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사전에 키와 값..
[Python] list 다루기 이번에는 list 라는 자료형을 다룰 것이다. list 는 여러 종류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형이다. 여러 종류의 데이터를 저장한다고 하면 이전에 다루었던 튜플이 떠오를 것이다! 튜플이 있는데 왜 리스트를 사용하냐고 의문을 가지게 될 것이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리스트와 튜플은 '다르기' 때문이다. 무엇이 다를까?? 그것은 바로 원소의 추가, 삭제, 변경 의 가능 여부이다. 기억을 더듬어 보면 우리는 튜플을 선언할 때, 선언만 하고 그것을 이용하기만 했었다. 원소를 추가하거나 삭제하지 않았다. 그러나 리스트는 그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리스트 선언 및 기본연산 그럼 리스트를 선언해보자. animals = ["개","고양이","쥐","소"] print(animals[0]) print(animals[..
[Python] 함수 작성하기 이전 포스팅들 에서는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문법에 대해서만 알아 보았었다. loop 문에 대한 포스팅을 할때에도 언급한 적이 있는데, 프로그래머들은 코드를 반복하는 것을 제일 싫어한다. 사실 코드 반복은 반복문으로 어느정도 극복할 수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훨씬 규모가 더 크고 반복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하나의 '단위' 가 필요할 수 있다. 어떠한 제품이나 물건을 만들때 한사람이 전체의 물건을 만드는 것 보다 각각의 사람이 물건을 부분 부분 나누어 만든뒤, 조립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각각의 사람들은 자기가 맡은 부분의 부품만 만들어내면 되기 때문이다. 한사람이 전체를 만든다면 전체 제품의 모든 부분을 만드는 법을 다 알아야 하지만 나누어서 만들면 각각의 사람들이 제품 전체를 만드는 법을 알 필요가 없다...
[Python] 반복문(for, while) 프로그래밍에 있어서 제일 비효율적인 것은 무엇일까? 바로 똑같은 코드로 반복하여 작성하는 것이다. 먼저 아래의 코드를 보며 어떤 경우에 비효율이 발생하는지 예를 들어 보겠다. i = 1 print(i,"번째 출력입니다!") i 를 출력 하는 print 문이다. 여기서 i 를 증가시키면서 3개를 출력해보자 i=1 print(i,"번째 출력입니다!") i+=1 print(i,"번째 출력입니다!") i+=1 print(i,"번째 출력입니다!") 위 코드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3번째 까지 증가시키면서 성공적으로 출력하였다. 그러나 만약에 100번, 1000번 까지 증가시키면서 출력을 하고싶을때는 어떻게 해야할까? 위 출력문을 100번, 1000번 반복해야 하는 걸까? 여기서 프로그래밍의 비효율이 발생한다. 프..
[Python] 조건문 사용하기 프로그래밍이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은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구조가 있어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이러한 의사결정의 구조의 기본은 만약(if) 로부터 시작된다. C/C++ 언어를 경험하였으면 잘 알겠지만 제일 많이 쓰는 조건문이 조건문과 반복문이다. 코드를 좀 더 화려하게 짤 수도 있겠지만, 사실 조건문과 반복문만 써도 아주 멋진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이 정도로만 조건문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실제로 조건문을 사용해보자. 일단 Spyder 를 실행한다. if 문의 기본 형태 a = input("please input the number: ") b = int(a) if b > 5: print("b is higher than 5!") elif b < 5: print("b..
[Python] 사용자 상호작용 ( print, input ) 파이썬 에서는 입력을 받고 출력을 받고 할 수 있을까? 당연히 할 수 있다. Spyder 를 다시 실행해보자. print 사용하기 이전 포스팅에서도 은연중에 사용했었는데 사용법은 매우 쉽다. print( ) 함수를 사용하면 출력 된다. 아래와 같이 사용하면 된다. 먼저 print( ) 안에서도 간단한 수학식 연산이 가능하다. 그리고 문자열 출력과 문자열 연산이 가능하다. 여기서 a 에 변수를 대입하고 print(a) 의 출력값과 a 를 입력했을 때를 비교해보자. a를 타이핑하면 3이 나오긴 하지만 Out 에 대한 값으로 출력이 된다. 이것은 실제로 출력되는 값이 아니라 python 내부에 어떤 '값' 이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command 에 대한 response 로 보여주는 값일 뿐이라는 것이다. 실..